임의로 모든 점들의 인덱스가 x값 순서대로 1...N으로 매겨져 있다고 가정합시다. 그럼 문제를 아래와 같이 재해석 할 수 있습니다:
(A) 각 레이저의 자취는 x축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레이저가 지나간 점들과, 그 자취에 속한 점들을 x값 순서대로 이어주는 선분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.
(B) 두 레이저가 만나는 1번째 점과 N번째 점을 제외하고는 항상 한 개의 자취에 속하게 됩니다.
문제에서의 조건에 따라 같은 x좌표를 갖는 점이 유일하게 존재하고 두 개의 자취가 서로 교차하지 않기 때문에, 상대적으로 위쪽에 있는 자취와 아래쪽에 있는 자취로 (사람이) 명확히 구분할 수 있습니다. 이를 각각 upperchain과 lowerchain이라고 부르도록 하겠습니다.
각 점을 x값 순서대로 upperchain에 넣을지 lowerchain에 넣을지를 고려하도록 하는 동적계획법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.
D[n][i][j] := index n번째 점까지 고려하여, upperchain의 가장 끝 점은 i이며 lowerchain의 가장 끝 점은 j일때의 경우의 수.
이제 n+1번째 점을 i와 잇는지(upperchain의 연장) j와 잇는지(lowerchain의 연장)를 결정해야합니다.
이때, 이러한 각각의 연결이 upperchain 혹은 lowerchain의 정의를 깨트리지는 않는지 확인해야합니다. 이를 위해 프로그램이 이해할 수 있도록 upperchain과 lowerchain을 정의해보겠습니다. 가능한 방법은 많지만 제가 했던 방법을 소개하려합니다 :) (다른 쉽거나 재밌는 아이디어가 있으시면 알려주세요)
upperchain의 정의 : upperchain에 속하는 임의의 한 선분 e (x1,y1)-(x2,y2) [이때 x1<x2]와 lowerchain에 속하는 점들 중 x값이 x1 ~ x2 사이인 모든 점들 p에 대해서 (x1,y1)-(x2,y2)-(px,py)의 방향은 시계방향을 따른다. (아래의 그림을 참조해주세요)
lowerchain의 정의는 upperchain의 그것을 조금만 바꾸면 얻을 수 있습니다. 이제 n+1번째점이 upperchain의 끝점 i와 이어진다면, i+1부터 n까지의 점들은 모두 lowerchain에 속하리라 짐작할수 있고 i->n+1->k (i+1<=k<=n)의 방향이 모두 시계방향임을 확인한다면 이것은 유효한 확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
즉, D[n][i][j]의 값이 0 이상 일때
i+1...n까지의 점이 i->n+1을 잇는 선분에서 봤을때 모두 시계방향이면 D[n+1][n+1][j] 값이 D[n][i][j]만큼 증가한다.
j+1...n까지의 점이 j->n+1을 잇는 선분에서 봤을때 모두 반시계방향이면 D[n+1][i][n+1]값이 D[n][i][j]만큼 증가한다.
다만 위의 정의는 각 점 n+1이 둘 중 한 개의 자취에만 속한다는 가정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, 두 자취 모두에 속해야하는 N번째 점에 대해서는 예외가 필요합니다. 임의로 먼저 upperchain이 N번째 점에 먼저 도달했다고 가정을 하고, lowerchain이
t에 있을때 t와 N을 이어도 문제가 없는지를 검사해서 이를 합산하면 답이 될 것입니다.
마지막으로, (1)(2)를 관찰하면 D[n][i][j]값중 값이 존재하는 n,i,j는 항상 ( n=i 또는 n=j ) 와 ( i,j<=n )을 만족시킴을 알 수 있습니다. 그러므로 실제 테이블에서는 D[i][j]만을 남기고 n=max(i,j)라고 마음 속에(그리고 프로그램 속에) 남겨두시면 시간과 공간복잡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. 이때의 시간 복잡도는 O(n^3)이 됩니다.
Kureyo
전 정말 썼었어요ㅠㅠ...
임의로 모든 점들의 인덱스가 x값 순서대로 1...N으로 매겨져 있다고 가정합시다. 그럼 문제를 아래와 같이 재해석 할 수 있습니다:
(A) 각 레이저의 자취는 x축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레이저가 지나간 점들과, 그 자취에 속한 점들을 x값 순서대로 이어주는 선분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.
(B) 두 레이저가 만나는 1번째 점과 N번째 점을 제외하고는 항상 한 개의 자취에 속하게 됩니다.
문제에서의 조건에 따라 같은 x좌표를 갖는 점이 유일하게 존재하고 두 개의 자취가 서로 교차하지 않기 때문에, 상대적으로 위쪽에 있는 자취와 아래쪽에 있는 자취로 (사람이) 명확히 구분할 수 있습니다. 이를 각각 upperchain과 lowerchain이라고 부르도록 하겠습니다.
각 점을 x값 순서대로 upperchain에 넣을지 lowerchain에 넣을지를 고려하도록 하는 동적계획법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.
D[n][i][j] := index n번째 점까지 고려하여, upperchain의 가장 끝 점은 i이며 lowerchain의 가장 끝 점은 j일때의 경우의 수.
이제 n+1번째 점을 i와 잇는지(upperchain의 연장) j와 잇는지(lowerchain의 연장)를 결정해야합니다.
이때, 이러한 각각의 연결이 upperchain 혹은 lowerchain의 정의를 깨트리지는 않는지 확인해야합니다. 이를 위해 프로그램이 이해할 수 있도록 upperchain과 lowerchain을 정의해보겠습니다. 가능한 방법은 많지만 제가 했던 방법을 소개하려합니다 :) (다른 쉽거나 재밌는 아이디어가 있으시면 알려주세요)
upperchain의 정의 : upperchain에 속하는 임의의 한 선분 e (x1,y1)-(x2,y2) [이때 x1<x2]와 lowerchain에 속하는 점들 중 x값이 x1 ~ x2 사이인 모든 점들 p에 대해서 (x1,y1)-(x2,y2)-(px,py)의 방향은 시계방향을 따른다. (아래의 그림을 참조해주세요)
lowerchain의 정의는 upperchain의 그것을 조금만 바꾸면 얻을 수 있습니다. 이제 n+1번째점이 upperchain의 끝점 i와 이어진다면, i+1부터 n까지의 점들은 모두 lowerchain에 속하리라 짐작할수 있고 i->n+1->k (i+1<=k<=n)의 방향이 모두 시계방향임을 확인한다면 이것은 유효한 확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
즉, D[n][i][j]의 값이 0 이상 일때
j+1...n까지의 점이 j->n+1을 잇는 선분에서 봤을때 모두 반시계방향이면 D[n+1][i][n+1]값이 D[n][i][j]만큼 증가한다.
다만 위의 정의는 각 점 n+1이 둘 중 한 개의 자취에만 속한다는 가정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, 두 자취 모두에 속해야하는 N번째 점에 대해서는 예외가 필요합니다. 임의로 먼저 upperchain이 N번째 점에 먼저 도달했다고 가정을 하고, lowerchain이
t에 있을때 t와 N을 이어도 문제가 없는지를 검사해서 이를 합산하면 답이 될 것입니다.
마지막으로, (1)(2)를 관찰하면 D[n][i][j]값중 값이 존재하는 n,i,j는 항상 ( n=i 또는 n=j ) 와 ( i,j<=n )을 만족시킴을 알 수 있습니다. 그러므로 실제 테이블에서는 D[i][j]만을 남기고 n=max(i,j)라고 마음 속에(그리고 프로그램 속에) 남겨두시면 시간과 공간복잡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. 이때의 시간 복잡도는 O(n^3)이 됩니다.
16년 전